휴대폰을 쓰다 보면 하루에도 몇 번씩 모르는 번호로 전화가 걸려옵니다. 단순 안내 전화일 수도 있지만, 상당수는 스팸·보이스피싱·광고성 전화일 가능성이 높습니다. 특히 최근에는 번호 위장, 국제 발신 사기 전화까지 기승을 부리면서 “받아야 할 전화일지, 피해야 할 전화일지” 구분하기 어려운 상황이 늘어나고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모르는 번호 확인 방법, 대표적인 스팸 전화 유형, 스마트폰과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차단 방법, 유용한 앱 비교, 실생활에서 바로 쓸 수 있는 보안 팁까지 자세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.

모르는 번호 확인하는 4가지 방법
방법 | 설명 | 장점 |
---|---|---|
통신사 스팸 조회 서비스 | SKT, KT, LGU+에서 발신자 정보를 실시간 분석해 스팸 의심 여부 표시 | 공식 서비스라 정확도 높음 |
스마트폰 기본 전화 앱 | 안드로이드·아이폰 전화 앱에 스팸 위험 표시 기능 내장 | 추가 설치 필요 없음 |
후후·후스콜 앱 | 1억 건 이상의 빅데이터 기반, 사용자 신고 즉시 반영 | 방대한 데이터, 실시간 업데이트 |
전화번호 포털 검색 | 네이버, 구글 등 검색창에 번호 입력 시 스팸 여부 확인 가능 | 간단, 별도 앱 불필요 |
👉 이 중 가장 활용도가 높은 건 후후(Whowho), 후스콜(Whoscall) 앱입니다. 데이터베이스가 크고, 사용자 신고가 즉시 반영되기 때문에 정확도가 높습니다.
스팸 전화 주요 유형
- 보이스피싱형
은행·경찰·검찰 사칭 후 개인정보, 계좌이체 요구 - 불법 대출 권유형
“정부지원 대출”, “저금리 대출” 등을 미끼로 개인 금융정보 요구 - 보험·상품 판매형
건강식품, 보험, 상조 서비스 등 과도한 판매 유도 - 광고·마케팅형
부동산, 이벤트 당첨, 불법 도박, 주식 리딩방 등 홍보 - 국제전화 위장형
해외 번호로 가장해 요금 폭탄 유도
👉 이 번호들은 받는 순간 피해 위험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차단·신고가 필요합니다.
스마트폰에서 스팸 전화 차단하는 방법
아이폰(iOS)
- 설정 → 전화 → 알 수 없는 발신자 음소거
- 연락처·최근 통화·Siri 제안을 제외한 번호는 자동 음소거 후 부재중으로 표시
안드로이드(삼성 갤럭시 기준)
- 전화 앱 → 더보기 → 설정 → 발신자 ID 및 스팸 보호 활성화
- 구글과 삼성의 스팸 DB 활용
통신사 전용 서비스
- SKT: T 스팸필터
- KT: KT 스팸차단 앱
- LG U+: U+ 스팸차단 서비스
✅ 기본 무료 제공, 필요 시 유료 확장 기능도 이용 가능
똑똑한 스팸 차단 체크리스트
- 모르는 번호는 반드시 검색 후 응답
- “금융기관·공공기관 사칭” 전화는 100% 의심
- 링크 클릭, ARS 입력 절대 금지
- 자주 오는 번호는 직접 차단 목록에 등록
- 피해 의심 시 즉시 112 또는 금융감독원(1332) 신고
스팸 차단 앱 비교
앱 | 주요 기능 | 장점 | 단점 |
---|---|---|---|
후후(Whowho) | 국내 최대 스팸 DB, 사용자 신고 반영 | 국내 최적화 | 해외번호 확인 제한적 |
후스콜(Whoscall) | 글로벌 DB, 국제전화 스팸 차단 | 해외 스팸 대응 강점 | 일부 기능 유료 |
T전화 | SKT 사용자 전용, 발신자 ID 표시 | 통신사 연동 강력 | SKT 전용 |
KT 스팸차단 | AI 기반 스팸 탐지 | KT 이용자 최적화 | KT 사용자 한정 |
U+ 스팸차단 | 국제전화 포함, 차단 알림 | LG U+ 연동 | LG U+ 한정 |
보이스피싱 대응 실전 팁
- 모르는 번호는 받지 않고, 검색 후 확인
- 금융 관련 전화라면 **무조건 공식 번호(대표번호)**로 다시 걸어 확인
- 가족, 지인 사칭 전화는 반드시 본인 확인 절차 거치기
- 계좌이체·상품권 구매 요구 시 100% 사기 의심
- 피해 발생 시 즉시 은행 지급정지 + 경찰 신고
FAQ
Q1. 모르는 번호인데 혹시 중요한 전화일 수도 있지 않나요?
네, 맞습니다. 택배 기사, 병원 예약, 면접 연락 등 중요한 전화도 모르는 번호로 걸려올 수 있습니다. 따라서 무조건 차단하지 말고, 검색으로 확인 후 필요한 경우 저장하는 것이 좋습니다.
Q2. 스팸 전화 신고는 어디서 하나요?
- 후후/후스콜 앱 내 신고 버튼
- 방송통신위원회 불법스팸 대응센터(118)
- 금융감독원(1332) 보이스피싱 전담 신고
신고 시 다른 이용자에게도 같은 번호가 스팸으로 표시되어 사회적 예방 효과가 있습니다.
Q3. 스팸 차단 앱을 여러 개 설치하면 더 안전한가요?
아닙니다. 한두 개만 설치해도 충분합니다. 여러 앱을 동시에 사용하면 배터리 소모와 중복 알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, 자신에게 맞는 앱을 선택해 꾸준히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.
Q4. 국제전화 스팸도 차단되나요?
네, 가능합니다. 후스콜은 국제번호 데이터베이스가 강력하며, 통신사에서도 국제전화 발신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 국제 발신인데 발신지 표시가 불분명하거나 ‘+870, +60’ 등 낯선 국가 번호라면 받지 않는 것이 안전합니다.
Q5. 스팸 전화를 받고 개인정보를 말해버렸어요. 어떻게 해야 하나요?
즉시 조치해야 합니다.
- 해당 은행·카드사 고객센터로 연락해 계좌 지급정지 및 비밀번호 변경
- 112 경찰 신고
- 금융감독원 1332에 보이스피싱 피해 신고 접수
빠른 대응이 피해 확산을 막는 핵심입니다.
참고 링크
- 후후 앱: https://whowho.co.kr
- 후스콜: https://whoscall.com/ko
- 방송통신위원회 불법스팸 대응센터: https://spam.kisa.or.kr
- 금융감독원 보이스피싱 신고: https://www.fss.or.kr
👉 청년 자발적 퇴사 실업급여 월 100만 원 지급 조건과 신청방법 완벽 가이드